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신혼부부복지

신혼부부 전세임대 입주대상, 소득기준, 임대조건, 신청방법 알아보기

by 피어리어스 2023. 5. 1.
728x90
반응형

신혼부부 전세임대

 

 

 

신혼부부 전세임대란 무엇인가?

 

신혼부부 전세임대란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유자녀 혼인가구가 원하는 생활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를 할 수 있도록 기존주택을 전세계약 체결하여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신혼부부 전세임대 Ⅰ,Ⅱ형으로 구분하며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신혼부부 전세임대 입주대상에 대하여 살펴보자!

 

신혼부부 전세임대 입주대상은?

 

무주택요건 및 소득 ·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유자녀혼가구면 해당이 됩니다.

 신혼부부는 혼인기간이 7년 이내인 사람으로 혼인은 혼인(재혼) 신고일 기준이며 예비신혼부부는 혼인 예정인 사람으로서 입주일 전일까지 혼인신고를 마친 사람이여만 한다. 

 

 

한부모가족은 한부모가족지원법 제 4조 1호의 규정에 따라 여성가족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보호대상 한부모 또는 일반 한부모가족으로 만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경우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유자녀 혼인가구는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가구로서 혼인기간은 무관합니다.

 

 

 

 

 

 

 


 

신혼부부 전세임대 소득기준은 어떻게 될까?

 

신혼부부 전세임대 Ⅰ형은 무주택세대 구성원으로서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배우자와 맞벌이일 경우 90%)이고, 국민임대주택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경우라면 가능합니다.

*2021년 5월기준 총 자산액 29,200만 원 이하, 자동차 3,496만 원 이하*

 

 

신혼부부 전세임대 Ⅱ형은 무주택세대 구성원으로서 월평균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배우자와 맞벌이일 경우 120%)이고, 행복주택 신혼부부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경우라면 가능합니다.

*2021년 5월기준 총 자산액 29,200만 원 이하, 자동차 3,496만 원 이하*

 

 

구분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0% 3.650.028원 4.368.364원 4.965.944원 4.965.944원 5.175.553원
90% 4.562.535원 5.616.468원 6.384.785원 6.384.785원 6.654.283원
100% 5.018.789원 6.240.520원 7.094.205원 7.094.205원 7.393.647원
120% 5.931.296원 7.488.624원 8.513.046원 8.513.046원 8.872.377원

 

전세임대포털

 

 

 

 

 

 

 

 


 

신혼부부 전세임대 신청방법을 알아보자!

 

신혼부부 전세임대 신청방법은 입주를 희망하는 사람은 입주자 모집공고에 공고된 신청기간중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광할하는 시와군 구청장, 공공주택사업자에게 입주신청을 해야합니다. 

 

1. 입주신청 : LH청약센터 접수

2. 입주자 자격조회 :  LH

3. 대상자 발표 : 개별통보

4. 입주대상자에 주택물색 안내 : LH  입주대상자

5. 입주희망주택 물색 · 결정 : 입주대상자

6. 전세가능 여부 검토(권리분석) : LH

7. 전세계약 및 임대차계약 체결 : LH, 임대인, 입주자

9. 신혼부부 전세임대 입주

 

 

신혼부부 전세임대 신청

 

 

◈ 햇살론카드 신청자격, 보증한도, 발급 가능 카드사 알아보기

◈ 국민기초 생활보장 제도 신청대상, 선정기준, 신청방법, 지원내용 알아보기

 

728x90
반응형